티스토리 뷰

각질이상질환에 좋은차와 술, 민간요법

 

각질이상질환에 좋은차

율무쌀

염주차

이 차는 피부병과 피부미용에 매우 좋은 것으로서 피부의 부스럼, 검은 딱지, 피부가 거치른 것을 치료해 준다.

 

만드는 방법은 율무쌀 600G을 깨끗이 씻어 쪄서 익히거나 볶아서 가루를 만들고 이것을 하루 세번 큰 숟가락으로 한두개씩 설탕 또는 꿀로 깨어 뜨거운 물 한사발에 풀어서 마시면 된다.

 

은행

은행차

이 차는 피부의 모진 부스럼을 제거하고 윤기를 더해 준다.

 

만드는 방법은 은행의 껍질을 모두 벗기고 한번 쪄서 말린 다음 이것을 가루로 만들어 꿀로 개어 걸쭉하게 되면 용기에 담아 보관한다.

 

이것을 하루 2~3회 정도 매 회 한숟가락씩 끓인 물 한사발에 풀어 마시도록 한다.

 

 

황부주차

이 차는 모든 피부병을 다스리는 효능이 있는 차로서 피부의 모진 부스럼, 검은 딱지, 가려움증을 치료한다.

 

만드는 방법은 물에 불려 연하게 된 대두를 믹서에 갈아 이와 같이 양의 물을 부어 잘 섞은 다음 베헝겊으로 즙을 낸다.

 

이 즙을 끓여서 익히고 여기에 설탕 또는 꿀을 넣어서 아침 공복시나 취침 전에 따뜻하게 데워서 마시면 된다.

 

모진 부스럼이나 오래 되어 낫지 않는 피부병에는 대두를 만들어 참기름에 개어 환부에 바르면 좋다.

 

 

미용차

이 차는 피부의 부스럼, 딱지, 가려움증을 제거하고 피부를 윤택하게 한다.

 

만드는 방법은 율무쌀 가루 20g, 딸기즙 또는 레몬즙, 귤즙, 사과즙 중에 10cc, 꿀 10~20cc를 끓는 물 한사발에 풀어 세번 정도 마시면 좋다.

 

각질이상질환에 좋은술

 

꿀술

이 술은 일체의 피부병을 다스린다.

 

만드는 방법은 찹쌀밥 600g, 누룩 190g, 끓는물5되를 항아리에 담고 밀봉한뒤 따뜻한 곳에 7일간 저장하면 술이 된다.

 

여기에 흰꿀 600g을 넣고 다시 밀봉하여 1개월 이상 저장한다.

 

이것을 하루 세번 식전이나 식후마다 따뜻하게 데워서 20~60cc씩 마시면 좋다.

 

우엉

우엉술

이 술은 피부의 습종과 가려움증을 치료한다.

 

만드는 방법은 우엉씨 300g과 마른 우엉뿔리 잘게 썬것 300g 그리고 설탕이나 꿀 600g, 소주 2되를 함께 용기에 담고 밀봉한후 1개월 이상 저장한다.

 

이것을 하루 세번 식전이나 식후마다 따뜻이 데워서 10~50cc씩 복용하면 된다.

 

사상자

사상자주

이 술은 모든 피부병에 효과가 있다.

 

만드는 방법은 깨끗이 씻은 사상자 300g과 설탕이나 꿀 600g, 소주 2되를 함께 섞어서 용기에 담고 밀봉한후 1개월 이상 저장한다.

 

 

귤술

이 술은 신체의 신진대사를 촉진하며 비타민이 가장 풍부한 음료로서 피부의 딱지를 제거해 주는 효능이 있다.

 

만드는 방법은 귤 10개 정도를 껍질째 편으로 썰고 설탕 1.2kg과 소주 2되를 함께 항아리에 담고 밀봉한후 1개월 이상 저장한다.

 

이것을 하루 세번 식전이나 식후마다 따뜻하게 데워서 10~50cc씩 복용하면 된다.

 

각질이상질환에 좋은 민간요법

 

대추나무

9~10월 열매가 익으면 태튀하여 씨를 제거하고 사용한다.

 

티눈이 생겼을 경우 씨를 제거한 대후살을 펴서 환부에 붙이거나 또는 먹으면 효과가 있다.

 

 

토란

여름에 채취하여 잘씻은 다음 말리지 않고 그대로 사용한다.

 

티눈에는 토란 줄기를 세로로 잘라 자른 곳에서 나오는 점액을 환부에 잘 문질러 바르면 통증이 없어지고 재발하지도 않는다.

 

 

마늘

발가락이나 발가락 사이에 티눈이 생겨서 통증이 있을 때는 껍질 벗진 마늘을 찧어 티눈에 2~3번 바르면 낫게 된다.

 

쇠비름

쇠비름

7~8월경 잎줄기를 채취하여 물로 씻어서 사용한다.

 

옴이 생겼을 때는 잎줄기의 생즙을 낸어 환부에 문질러 바르면 좋다.

 

도꼬마리

도꼬마리

7월경에 잎줄기와 뿌리를 채취하여 물에 깨끗이 씻어 사용한다.

 

옴이 생겼을 때는 도꼬마리의 잎줄기와 뿌리를 짓찧어 거기에 물로 붓고 달여서 고약 같은 상태가 되면 그것을 환부에 바르면 좋다.

 

 

봄에서 여름에 채취하여 그늘에서 말려 사용한다.

 

피부에 옴이 발생했을 때는 말린 쑥의 잎줄기에 복숭아잎 그리고 유황가루를 약간 섞어서 수건을 반으로 접어 만든 주머니에 3분에 1가량 채우고 이것을 목욕탕물에 담근다.

 

이 약탕물로 목욕을 하거나 그 물로 옴이 발생한 환부를 자주 씻어 주면 치료에 도움이 된다.

 

 

시금치

건선 등과 같이 피부에 윤기가 없어지고 메마른 상태의 피부병에는 시금치 2~3근(1.2~1.8kg)을 뿌리째 캐어 2~3시간 달여서 이것을 자주 마시면 피부의 건조된 부위를 촉촉하게 해준다.

 

뽕나무

뽕나무

늦가을에 서리 맞은 뽕잎을 이용한다.

 

피부병으 인해 환부가 가렵고 통증이 있을 때는 뽕잎 75g과 쑥잎 37.5g을 물 3되로 달여 반이 되면 이 물을 매일 3~5컵 정도 마시고 환부는 이 물로 씻어 주면 좋다.

 

황백나무

황백나무

내피는 봄에 벗겨내서 햇볕에 충분히 말려 사용한다.

 

피부에 옴이 발생했을때는 말린 니피를 가루로 만들어 그 분말을 환부에 발라주도록 한다.

 

 

살구

코 끝이 빨갛게 되었을때는 속껍질이 있는 살구씨 15g을 으깨어 쪄서 가루를 만들고 정종술에 개어 고약을 만든 다음 이것을 매일 3~5회 환부에 발라 주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