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사자성어 모음, 자주쓰는 사자성어
새해인사, 명절인사, 경조사와 일상 생활 전반에 자주 쓰이는 사자성어. 여러분들은 사자성어를 뜻에 맞게 잘 사용하고 계신가요?
저는 어른들과의 모임자리가 생기면 사자성어를 10번 이상은 듣게 되는것 같은데요. 들으면서도 저 사자성어는 뜻이 뭐였더라? 하고 긴가민가 할 때가 많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이번시간에는 '자주쓰는 사자성어' 에는 어떤 것이 있으며 뜻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자성어 모음, 자주쓰는 사자성어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보실 수 있습니다.
今始初聞 - 금시초문: 이제야 처음으로 들음.
過猶不及 - 과유불급 : 지나칠것은 미치지 못한 것과 같다.
九死一生 - 구사일생 : 죽을고비를 여러번 겪으며 살아나다.
輕擧妄動 - 경거망동 : 경솔하고 망령되게 행동하다.
改過遷善 - 개과천선 : 잘못을 고치고 옳은 길에 들어서다.
苦盡甘來 - 고진감래 : 고생끝에 낙이온다.
錦上添花 - 금상첨화 : 좋은데다가 좋은것을 더 보탠다.
落張不入 - 낙장불입 : 한 번 발을 들인 순간 물러나지 못한다.
東問西答 - 동문서답 : 묻는말에 엉뚱한 대답을 한다.
多多益善 - 다다익선 :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
同病相憐 - 동병상련 : 비슷한 처지에 있는 사람끼리 더욱 상대를 동정하고 입장을 잘 안다.
單刀直入 - 단도직입 : 필요없는 말은 생략하고 요점이나 본문을 말하다.
名實相符 - 명실상부 : 이름과 실상이 서로 맞다.
無用之物 - 무용지물 : 아무짝에나 쓸모없는것.
莫上莫下 - 막상막하 : 서로 비슷비슷하여 판단하기 어렵다.
不知其數 - 부지기수 : 너무 많아서 그 수를 알수가 없다.
非一非再 - 비일비재 : 이런일이 한두번이 아니다.
拍掌大笑 - 박장대소 : 손뼉을 치면서 크게 웃는다.
半信半疑 - 반신반의 : 반은 믿고 반은 의심한다.
朋友有信 - 붕우유신 : 벗과 벗은 믿음이 있어야 한다.
博學多識 - 박학다식 : 학문이넓고 지식등이 많다.
三顧草廬 - 삼고초려 : 뛰어난 인재를 얻기위해 3번이나 집을 찾아가서 정성을 다한다.
十中八九 - 십중팔구 : 거의 예외없이 그러할 것이라는 추측.
四面楚歌 - 사면초가 : 사방이 모두 적으로 고립되어 둘러싸인상태.
三十六計 - 삼십육계 : 봉변을 면하려면 도망가는게 상책이다.
小貪大失 - 소탐대실 : 작은것을 탐내다가 오히려 큰것을 잃는다.
山戰水戰 - 산전수전 : 험한 세상일을 다 겪음.
塞翁之馬 - 새옹지마 : 사람의 일은 예측하기 힘들다.
事必歸正 - 사필귀정 : 모든일은 결과적으로 반드시 바른길로 돌아온다.
殺身成仁 - 살신성인 : 자기의 몸을 희생하여 옳은 도리를 행한다.
時機尙早 - 시기상조 : 아직~때가 이르다.
私利私慾 - 사리사욕 : 개인적인 이익과 욕심.
是是非非 - 시시비비 : 옳고 그름을 가려낸다.
十匙一飯 - 십시일반 : 여러 사람이 힘을 합치면 한 사람 돕기는 쉽다.
雪上加霜 - 설상가상 : 눈위에 서리가 덮쳤다.
始終一貫 - 시종일관 : 처음과 끝이 같다.
深思熟考 - 심사숙고 : 같이 생각하고 신중을 귀한다.
漁夫之利 - 어부지리 : 서로 다투고있을때 제 삼자가 이득을 본다.
愛之重之 - 애지중지 : 매우 사랑하고 귀중히 여긴다.
兩者擇一 - 양자택일 : 둘중에 하나를 가린다.
有口無言 - 유구무언 : 입은있으나 말이 없다는 뜻으로 변명을못한다.
語不成說 - 어불성설 : 말에 이치가 맞지않다.
易地思之 - 역지사지 : 서로 입장을 바꿔놓고 생각해본다.
以心傳心 - 이심전심 : 말을하지 않더라고 서로 마음이 맞다.
以熱治熱 - 이열치열 : 열로서 열을 다스린다.
溫故知新 - 온고지신 : 옛것을 익혀서 새것을 안다.
臥薪嘗膽 - 와신상담 : 원수를 갚고자 고난과 고생을 참고 견딘다.
威風堂堂 - 위풍당당 : 풍채가 위엄있고 당당하다.
以實直告 - 이실직고 : 사실 그대로 고함.
日就月將 - 일취월장 : 나날이 다달이 발전해간다.
臨機應變 - 임기응변 : 그때그떄 일에따라 융통성있게 처리한다.
因果應報 - 인과응보 : 좋은일에는 좋은결과가, 나쁜일에는 나쁜결과가 따른다.
人山人海 - 인산인해 : 사람이 헤아릴수 없이 많이 모였다.
人之常情 - 인지상정 : 인간으로써 가지는 보통의 인정
一石二鳥 - 일석이조 : 한가지 일을 해서 두가지 이익을 얻는다.
一瀉千里 - 일사천리 : 말이나 일의 진행이 거침이 없다.
一觸卽發 - 일촉즉발 : 막 일이 일어날듯한 위험한 지경.
自激之心 - 자격지심 : 자기가 한일에 대하여 스스로 미흡한 생각을 가진다.
自初至終 - 자초지종 : 처음부터 끝까지 이르는 동안 또는 그사실
作心三日 - 작심삼일 : 한번 결심한 것이 사흘을 가지 않는다.
自給自足 - 자급자족 : 자기가 필요한것은 스스로 생산하여 충당함.
適材適所 - 적재적소 : 알맞은 자리에 알맞은 인재를 등용한다.
轉禍爲福 - 전화위복 : 궂은일을 당했을때 그것을 잘 처리하여 좋은일이 되게한다.
自業自得 - 자업자득 : 자기가 저지른 일의 과보를 자기 자신이 받는다.
珍羞盛饌 - 진수성찬 : 맛이좋은 음식으로 많이 차려져있다.
自暴自棄 - 자포자기 : 절망상태에 빠져서 스스로 자신을 포기한다.
長幼有序 - 장유유서 : 어른과 아이는 차례가 있다.
賊反荷杖 - 적반하장 : 잘못한 사람이 도리어 잘하는 사람을 나무란다.
晝耕夜讀 - 주경야독 : 낮에는 일하고 밤에는 공부한다.
千載一遇 - 천재일우 : 좀처럼 만나기 어려운 좋은 기회.
千辛萬苦 - 천신만고 : 온갖고생 무진 애를쓰다.
靑山流水 - 청산유수 : 거침없이 잘하는 말에 비유
靑天霹靂 - 청천벽력 : 곧 뜻밖에 생긴 변을 일컫는말.
抱腹絶倒 - 포복절도 : 배를 안고 몸을 가누지 못할 정도로 몹시 웃음.
破竹之勢 - 파죽지세 : 대쪽을 쪼개는 듯한 거침없는 형세.
鶴首苦待 - 학수고대 : 학의 목처럼 목을 길게 늘여 몹시 기다린다.
螢雪之功 - 형설지공 : 가난과 역경을 딛고 일어서서 성공했다는말.
虎視眈眈 - 호시탐탐 : 날카로운 눈으로 기회를 노린다.
弘益人間 - 홍익인간 : 널리 인간세계를 이롭게 한다.
喜怒哀樂 - 희로애락 : 기쁨과 노여움과 슬픔과 즐거움등 사람의 온갖 감정
지금까지 자주쓰는 사자성어, 사자성어 모음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자주쓰는 만큼 뜻을 바르게 알고 적재적소에 잘 사용하시는 현명한 여러분이 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