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오늘은 알면서도 틀리기 쉬운 국어 표기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길거리의 광고판을 보거나, 인터넷의 글을 보면 간혹, "~가 있읍니다" 혹은 "~가 있습니다." 라는 말을 자주 볼 수 있는데요. '있읍니다' 라고 사용하시는 분들과 '있습니다'로 사용하시는 분들이 많아 어느 문장이 맞는지 혼동이 오는 경우가 많은데요.
그래서 오늘은, '있읍니다'/ '있습니다' 와 '없읍니다'/ '없습니다' 의 올바른 표기법과 '있슴'/ '있음' , '없슴'/ '없음'의 올바른 표기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결론부터 말씀 드리면, 한국 표준어 맞춤법에 의거하여 '있습니다' 와 '없습니다' 가 올바른 표준어 입니다.
정부는 1988년 1월 19일 한글 맞춤법을 고시하고, 1년의 유예기간을 거쳐서 1989년 3월부터 바뀐 어문 규정을 시행하여 '있읍니다' → '있습니다' 로 변경 하였습니다. 그러므로 '없읍니다' → '없습니다' 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있읍니다(X) 있습니다(O) / 없읍니다(X) 없습니다 (O)
그렇다면 '있다'의 명사형인 '있음'/ '있슴' , '없음'/ '없슴' 은 어떤 표기법이 올바른 표현법일까요?
바로 '있음'/ '없음'이 정확한 표기법입니다.
기본형: 있다/ 없다
평서문의 종결형 : 있습니다/ 없습니다.
명사형으로 만들 때 : 기본형 + 전성어미'~음' = '있다' / '없다' + '~음' 이 결합되어 있음/ 없음이 됩니다.
'있습니다' 와 '없습니다' 가 평서문의 종결 형태이고, 명사형으로 만들 때는 각각의 기본형 '있다' 와 '없다' 의 어간에 명사형 전성어미인 ~음을 결합시켜 만들기 때문에 '있음' 과 '없음' 이 됩니다.
종결형태로 사용할 때는 '~습니다' 명사형으로 사용할 때는 '~음'
있슴(X) 있음(O) / 없슴(X) 없음(O)
지금까지 있읍니다/ 있습니다 의 올바른 표기법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아름다운 우리의 국어를 올바르게 사용하는 소중한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