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유방암의 초기증상 및 원인을 알아보자
유방암의 원인
유방암의 원인은 아직 확실히 밝혀져 있지 않으나 호르몬설이 인정되고 있다.
드물게 남자에게도 생기나 주로 여자에게 생기는 유방암은 유럽이나 미국에서 발생하는 여성의 암 중 제일 많은 악성 종양이며 우리나라에서도 현재 여성에게 발생하는 암 중 제3위를 차지하고 있다.
유방암은 40세 내지 50세의 폐경기 전후에 많으며 더 젊은 여성에게도 생기는 수도 있다.
독신 여자에게도 잘생기며 결혼은 하였어도 임신의 경험이 없는 여성이나 출산의 경험이 있어도 수유하지 않은 여성에게 많이 나타난다.
그러한 반면 아이를 많이 낳은 사람이나 오랫동안 어린이에게 젖을 먹인 여성에게는 유방암의 발생이 적다.
유방암이 폐경기를 늦게 맞이하는 여성에게 빈발하는 것으로 보아 호르몬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예측할수 있다.
즉 과잉의 난포 호르몬과 유방암과는 관계가 깊어 여성 호르몬의 남용은 유방암의 발생을 증가시킬 위험성이 있는 것이다.
유방암의 초기증상
유방암의 증상으로는 젖속에 작고 단단한 덩어리가 천천히 자라는데 손으로도 만질수 있다.
젖꼭지가 속으로 들어가게 되며 만약 젖이 나오는 부분에 혹이 나면 젖꼭지로부터 혈액성 분비물이 나온게 된다.
유방암의 초기증상에는 겨드랑이의 멍울을 만질수가 없고 영양상태가 나쁘지도 않은데 진전하게 되면 종양은 피부와 가슴팎에 유착이 되어 그 부분이 오므라들고 움직여지지 않으며 겨드랑이에 커진 임파선 멍울을 발견할수 있다.
점점 진행하면 피부가 변해 형태가 귤껍질 같이 되면 색도 변화가 있고 이것이 터져 궤양이 되기도 한다.
겨드랑이의 임파선 멍울이 점점 더 커지며 극심한 동통을 느낀다.
유방암이 잘 나타나는 부위는 유방을 4등분할때 바깥 쪽의 상부에 많이 생긴다.
유방암의 증상은 다음과 같다.
제 1기는 혹이 국한되어 있고 어느 방향으로나 잘 움직이며 임파선과 피부에 변화가 없다.
제 2기는 유방에만 혹이 국한되어 있고 피부는 변화가 없으나 겨드랑이에 몇 개의 임파선 멍울이 만져진다.
이 멍울은 다른 부분과 유착이 없다.
제 3기는 혹이 유방 전 부분에 걸쳐 퍼져 있고 가슴팎에 밀착되어 있다.
이는 움직여지지 않으며 유방에 부종이 있어 부어 있다. 유방의 겉표면은 단단하고 때론 궤양으로 허는 경우가 있다.
여러 개의 임파선 멍울이 겨드랑이 밑에서 만져지나 다른 부분의 전이는 볼수 없다.
제 4기는 임파선 멍울이 겨드랑이 뿐만아니라 다른 부분의 전이를 일으켜 늑막, 폐, 간, 목에서도 멍울이 발견되며 반대 편 유방에도 생긴다.
이러하여 전신 쇠약은 점점 심해져서 사망하게 되는 것이다.
유방암의 예방과 치료
뚜렷하고 확정적인 원인이 없는 상황이라 특별한 예방법은 없으나 몇 가지 위험인자로서 아이를 전혀 낳지 않았거나 나이가 차서 첫아이를 낳은 여성, 폐경기가 늦은 여성, 비만형의 여성 또 가족중에 유방암이 있는 여성의 경우 등을 들수 있는데 이런 상황에 있는 여성은 정기적인 검사를 받는 것이 좋겠다.
유방암의 약물요법으로 호르몬 요법을 이용하는데 이 호르몬 요법은 증상이 심해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동통과 고통을 없애고 생명을 연장시키기 위해서 시행하는 것으로서 방법은 먼저 난소를 척출해 낸후 남성 호르몬을 주사한다.
폐경후 5년이 지난 환자에게는 이 남성 호르몬 대신에 여성 호르몬을 주어 효과를 보는 때도 있다.
또한 유방에 멍울이 있다고 다 유방암은 아니나 일단 멍울이 만져지면 검사를 받도록 한다.
유방암의 조기 진단으로 유방 초음파 검사를 하거나 조직생검을 하여 진단한다.
자신이 스스로 검사하는 방법으로는 거울 앞에서 거울을 보면서 한쪽 팔을 머리 뒤로 젖히고 다른 손으로 가슴을 만져보는 방법과 누운자세에서 행하는 것으로 한쪽 팔을 머리위로 쭈욱 올리고 올린 팔쪽 등뒤에 베개를 받혀 놓은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유방을 바깥에서 안으로 부드럽게 원을 그리듯이 만져 보는 방법이 있다.
유방암이 있으면 덩어리가 만져지며 이 덩어리는 마치 이불 아래에 돌을 놓고 만지는 느낌이 있다.
검사는 월경 후 약 7일간 유방의 크기가 적어질때 하는 것이 발견에 용이하다.
요즘 유방암에 대한 관심이 여성 사이에서 높아지고 있으나 아직도 조기 진단이 늦어져 대부분은 진행된 상태에 발견되어 완치의 기회를 놓치게 되므로 평소 유방암의 조기 진단에 관심과 주의를 기울이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