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여성 냉증 원인과 증상 및 예방과 치료
여성냉증의 원인
냉증의 원인은 정확하지 않으나 대체로 신경섬유중에도 가장 가느다란 부분의 변화로 혈액순환이 활발하지 못한데서 온다고 본다.
한방에서는 혈액의 부족으로 일어나는 경우와 또 반대로 혈액이 울혈 (몸 속 장기나 조직에 정맥의 피가 모인 상태로 정맥혈이 정맥 및 모세혈관에 괴어 있음) 상태로 되어 잘 흐르지 못해서 일어날 경우 또는 수분이 몸의 일부에 정체하기 때문에 일어나는것 등 여러가지를 고려하고 있다.
또 위하수 (위의 위치 이상증세) 나 위아토니 (위의 긴장력이 저하되고 쇠약해진 상태) 등이 있어 전신적인 신진대사가 약화되고 또는 자율신경의 실조로 일어나는 경우도 많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남방계에 속해 있어 서구인인 북방계에 비해 온도가 조금만 내려가도 비교적 추위를 잘 타는데 냉증이란 단순히 추위를 타는 것과는 다르다.
또한 부인의 여러 가지 질환의 근원은 냉증이라고 하여도 지나친 말이 아니다.
손발, 허리가 냉하면 내부성기가 충혈되어 월경불순, 부속기염, 자궁내막염, 자궁내에서 나오는 병적인 액체 등이 나타나며 난소기능부전, 자궁발육부전으로 되어 이로 인하여 불임증이 된다.
그 밖에 냉증이 있으면 각종의 관절류마티스, 신경통, 신우염, 신염, 방광염, 네프로제, 요통, 복통 등의 원인이 되거나 중년 부인이 되면 어깨가 뻐근하고 수족이 저리며 갱년기장해 등의 원인이 되는 경우도 있다.
냉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옷을 따뜻하게 하여 하반신이 식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 최근에는 냉방시설이 보급되어 냉방의 의한 냉증을 호소해 오는 이도 있다.
몇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보면 부분적으로 체온이 낮을때는 빈혈, 저혈압 때문이고 여성으로 발, 허리가 찬 것은 갱년기 장해, 자궁내막염에서 오며 체온은 떨어지지 않았는데 차다고 느끼는 것은 신경성에 의한 것이다.
여성 냉증 증상
냉증은 온몸이 냉하고 여름에도 발과 다리가 저려서 얇은 양말을 신거나 마루나 시멘트 바닥위에도 오래 있을수 없으며 머리만이 냉하거나 등과 허리에 오한을 느낄 정도로 심하거나 무릎부터 아래가 물에 담근것 같이 냉하고 반대로 안면은 불과 같이 달아오르는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냉증이 있는 사람은 잠자리에 들어서도 몸은 곧 따뜻해지지만 허리만은 늘 차갑고 요통을 느낀다.
냉증은 대체로 중년기에 많으나 20세 이하에도 이 같은 증상을 찾아 볼수가 있다.
어떠한 증세에도 평소에 비타민B 나 비타민E 가 주로 포함한 식품을 많이 섭취하도록 하고 적당한 운동을 하여야 한다.
또 신경안정제가 일시적으로 효과를 나타낼 수도 있다.
여성 냉증 예방과 치료
오늘날의 냉증을 근본적으로 치료할수 있는 약은 없다. 그러므로 일상생활을 여러 가지로 개선하려는 노력이 중요하다.
먼저 두꺼운 양말이나 바지 등을 입어 발, 허리를 차가워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옷도 꽉 끼는 옷은 피하며 지방이 들어있는 차갑고 단음식은 피해야 한다.
또한 적절한 운동으로 혈액순환을 촉진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며 따뜻한 차를 마시거나 배를 따뜻하게 찜질하는 것도 좋은 예시이다.
목욕을 할때는 입욕하여 마사지를 해주어 혈행을 좋게 하고 체온을 높이기 위해서 단백질, 비타민 등을 풍부하게 섭취한다.
지나치지 않는다면 약간의 와인이나 알콜을 마시는 것도 좋지만 한방에는 옛날부터 냉증을 대단히 중요시하여 몸을 따뜻하게 하는 약이 있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냉증을 치료하기 위한 임시 방편 밖에 안되며 완전한 냉증의 치료는 아직은 현대의학의 맹점이라 하겠다.